본문 바로가기
IT&DEV - IT & 개발/ETC

한국투자증권 OpenAPI에서 웹소켓(WebSocket) 방식을 사용할 때의 장점과 단점

by Hoft 2025. 3. 11.
728x90
반응형
반응형

📌 1. 웹소켓 방식이란?

웹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,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로. 일반적인 HTTP 요청과는 다르게,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
한국투자증권 OpenAPI에서도 웹소켓을 활용하면 실시간 주식 시세체결 정보 같은 데이터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어요.


✅ 2. 한국투자증권 웹소켓 방식의 장점

🚀 1) 실시간 데이터 수신

  • 웹소켓을 사용하면 주가 변동, 호가(매수/매도), 체결 정보 등을 밀리초(ms) 단위로 실시간 수신
  • HTTP 방식에서는 주기적으로 API를 호출해야 하지만, 웹소켓은 한 번 연결을 유지하면 자동으로 최신 데이터를 수신

🔄 2) 낮은 네트워크 오버헤드

  • HTTP Polling(주기적인 요청) 방식보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다.
  • HTTP 요청-응답 방식은 매번 새롭게 연결을 설정해야 하지만, 웹소켓은 한 번 연결되면 유지되므로 연결 비용이 낮음.

🔗 3) 지속적인 연결 유지

  • HTTP 요청은 보통 요청 → 응답이 끝나면 연결이 끊기지만, 웹소켓은 한 번 연결되면 계속 유지되므로 데이터를 끊김 없이 받을 수 있음.
  • 실시간 자동매매 시스템을 만들 때 유리함.

⚡ 4) 저지연(Low Latency) 통신

  • HTTP 요청은 요청마다 새로운 TCP 연결을 맺지만, 웹소켓은 이미 맺어진 연결을 통해 바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.
  • 따라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가 빠름.

❌ 3. 한국투자증권 웹소켓 방식의 단점

🚧 1) 연결 유지 관리 필요

  • 웹소켓은 연결이 끊기면 다시 연결해야 하는 로직이 필요함.
  • 예를 들어, 인터넷 장애나 서버 측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 재연결 기능을 구현해야 함.

🔥 2) 멀티플렉싱 부족

  • 일반적인 웹소켓은 하나의 연결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어려움.
  • 즉, 다른 종목의 데이터나 여러 개의 채널을 한 번에 관리하려면 별도의 로직을 추가해야 함.

📉 3) API 사용량 제한 고려

  • 한국투자증권 OpenAPI에서는 웹소켓을 통한 데이터 수신에도 제한이 있을 수 있음.
  • 너무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요청하면 API 제한에 걸릴 수도 있음.

📡 4) 방화벽 및 네트워크 환경 문제

  • 웹소켓 연결이 일부 방화벽에서 차단될 가능성이 있음.
  • 회사 내부망, 공공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웹소켓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.

🎯 4. 웹소켓 vs HTTP Polling 비교

데이터 전달 방식 서버가 실시간으로 푸시 클라이언트가 일정 간격으로 요청
네트워크 부하 낮음 (한 번 연결 유지) 높음 (매번 요청)
지연 시간 낮음 높음
연결 유지 지속적인 연결 유지 요청할 때마다 새 연결
복잡성 연결 관리 필요 (재연결, 예외 처리) 간단함

비교 항목 웹소켓 방식 HTTP Polling 방식


🔥 5. 웹소켓을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?

실시간 주식 시세를 받아야 할 때
자동 매매 로직에서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할 때
주기적인 HTTP 요청이 부담될 때

💡 하지만, 만약 실시간성이 필요하지 않고 일정 간격(예: 1초 ~ 몇 초 단위)으로 데이터를 받아도 된다면 HTTP Polling 방식이 더 간단할 수 있음.


728x90
반응형

댓글